집중력 향상 클리닉(ADHD)

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위・아래 삭제 복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위・아래 삭제 복제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ADHD란? 
ADHD는 아동기에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장애로서, 지속적인 주의력 결핍(Inattention), 과잉활동(Hyperactivity) 그리고 충동성(Impulsivity)의 특징을 가집니다. 주로 초기 아동기에 발생하고(7세 이전) 여러 기능 영역(가정, 학교, 사회)에 지장을 초래합니다. 미국 소아과학회의 통계에 따르면 약 3~8%의 아동이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1994년 서울대병원에서 서울과 대전 지역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서 7.6%가 ADHD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 학급당 적어도 한 두 명은 ADHD에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 ADHD 소아 청소년의 10%정도만 치료를 받고 나머지는 방치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내 아이가 ADHD에 해당하는 것을 몰라서, 또는 알지만 인정하지 못해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많은 소아 청소년과 부모님들은 지금도 좌절감과 스트레스 속에서 힘들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보통의 부모들은 '아이가 커가면서 저절로 좋아지겠지' 라 고 생각하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보면 약 30%이상에서 성인기까지 그 증상이 지속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ADHD는 단순히 심리적인 문제가 아닌 뇌 발달의 불균형으로 일어나는 일종의 뇌 질환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단순히 혼내거나 책상에 오래 앉아있으라고 하거나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받는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ADHD의 구체적 증상 
집중력장애 – 부주의하지만 산만한 행동은 잘 보이지 않는 유형입니다 
-공상에 잠기기를 잘하고 잘 잊어버리거나 잃어버리고, 느리고, 할 일을 잘 마무리 못합니다 
-학업 활동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부주의한 실수를 자주합니다. 
-학습이나 놀이에 지속적으로 집중을 못합니다 
-자주 딴 생각에 빠져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습니다.
-지시를 따라오지 않고, 학업이나 심부름을 끝내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정신을 쏟아야 하는 일을 피하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주의가 산만해집니다. 
-일상적인 일을 자주 깜박거립니다. 

과잉행동충동장애 - 과잉 행동이 두드러지면서, 차례를 잘 지키지 못하고, 남의 일에 간섭이 많은 과잉 행동 충동성 유형입니다. 
-가만히 있지 못하고 손발을 꼼지락거리고 몸을 뒤틉니다. 
-교실 등과 같이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할 상황에서 자꾸 돌아다닙니다. 
-조용해야 할 공공장소에서 뛰어다니고, 높은 곳으로 자주 기어오릅니다. 
-자주 떠들면서 놉니다. 
-마치 모터가 돌아가듯이 분주히 돌아다니고 지나치게 말이 많습니다. 
-가만히 있어야 하는 교실이나 기타 상황에서 돌아다닙니다.
-조용하게 쉬거나 레저 활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합니다.

두 가지가 다 있는 복합유형
-부주의함, 과잉 행동, 충동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이 유형이 가장 흔하고 가장 심한 형태입니다. 


어떻게 평가 및 치료가 이루어지나요? 
아동의 전반적인 평가는 일차적으로 의사와의 면담에 의해 이루어지며, Conners 평가 척도, CBCL 등의 각종 평가 척도와 지능검사, 지속 수행 검사 등 객관적인 측정 방법들이 동원됩니다. 행동이 눈에 띄게 산만한 아이들이나 산만하지는 않지만 집중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망설이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서 상담 및 검사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경우 치료를 해주면 집중력이 향상되면서 학습능력이 현저하게 개선됩니다. 치료방법은 교육적 대책, 인지-행동적 치료, 약물치료의 3가지가 상호보완적으로 필요합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