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클리닉

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위・아래 삭제 복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위・아래 삭제 복제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불면증
불면증은 잠이 들거나 수면 유지에 어려움이 있거나 혹은 아침에 너무 일찍 깨는 것 등이 주요 증상이며 불면증의 지속시간에 따라서 일시적인 불면증과 만성불면증으로 구분됩니다. 대개 사별이나 이별과 같은 상실 경험, 생활상의 큰 변화, 가족이나 직장에서의 심각한 갈등이 있으면 심한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보이며 정상적으로 수면을 이루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일시적인 불면증은 처음에 불면증을 촉발시켰던 스트레스 요인이 사라지거나 스트레스에 적응하게 되면 자연히 없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처음에 불면증을 촉발시켰던 스트레스가 해결되거나 보통 사람 같으면 적응되었을 만큼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계속해서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 (대개 6개월 이상)를 만성불면증이라고 부릅니다. 만성적으로 수면이 부족하면 우리 몸에 큰 부담이 되고 집중력과 기억력이 감퇴되며, 정서적으로 불안정 해지고 매사에 의욕이 없어집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통해 불면증의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합니다.


불면증의 현상들 
A. 잠이 드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요. 낮밤이 바뀌었어요 (수면리듬 장애) 
불면의 원인을 없애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수면을 저해하는 습관들을 점검하여 없애고(수면 위생) 스트레스를 다루고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며 필요한 경우에는 수면을 돕는 약을 써볼 수 있습니다. 

B. 꿈을 너무 많이 꿔요  
원인이 제거되면 불면증도 함께 없어집니다. 스트레스, 불안, 우울에 대해 주변 사람들과 의논하며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찾습니다. 

C. 잘때 코를 심하게 골아요. (수면 무호흡증)   
심하지 않은 경우 잠자는 자세를 조절합니다. 머리를 약간 뒤로 젖혀서 공기가 통하는 길이 넓게 열리도록 하거나 옆으로 누워서 자게 하면 목젖이 뒤로 늘어져서 공기가 통하는 길을 막는 걸 방지할 수 있습니다  

D.악몽을 꿔요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가 우선입니다. 생활의 스트레스나 심리적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주변에서 도움을 구하고 나의 사고와 감정의 전환을 시도해 봅니다. 생각과 감정의 오랜 패턴의 쉽게 변화되는 것은 실상 어려운 일이며 경험 있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면 더 좋습니다. 꿈을 억제하기 위해  REM수면을 감소시키는 약을 쓰기도 합니다.   

E.야경증 
야경증은 보통 소아에서 잠이 든지 오래 지나지 않아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갑자기 깨서 소리 지르고 울며 흔들어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듯이 보입니다. 진땀을 흘리고 매우 무서워하는 것처럼 보여서 부모가 당황하게 되지요. 이것은 악몽과는 다른 것으로(물론 소아에서도 악몽은 자주 있으며 원인은 성인과 비슷합니다) 아이가 그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보통 나이가 들면서 저절로 없어집니다. 몹시 피곤하거나 심리적 스트레스가 있을 때 야경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것들을 조절해줍니다. 심하면 소량의 약물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만성불면증의 특징
스트레스에 당면하면 긴장 수준이 높아지고 각성 상태가 유지되어 종종 수면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불면에 대한 심한 걱정은 그 자체가 하나의 스트레스가 되어서 각성 수준을 높여 불면을 더욱 만성화 시키고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처음에는 스트레스의 결과로 파생된 불면이 나중에는 불면 그 자체가 스트레스가 되어버려서 이에 대해서 걱정하고 신경을 쓰게 되면서 만성불면증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불면증을 진단할 때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절대적인 수면시간이 아니라 수면 효율성인데 만성적인 불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해보면 이들은 객관적으로 확인된 것에 비해서 잠들기까지 걸린 시간과 수면 중에 깬 시간을 과대 추정하고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잠을 잔 시간은 과소 추정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처럼 불면증 환자들은 자신의 수면 상태를 실제보다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8-03-22 12:26:39 집중력 향상 클리닉(ADHD)에서 복사 됨]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8-03-22 12:29:35 학습클리닉에서 복사 됨]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8-03-22 15:15:23 영유아 발달 클리닉에서 복사 됨]